[독일 ESG] 일회용컵 없앨 수 있을까? 상상을 현실로 만든 리컵(reCup)

베를린 카페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다회용 컵 리컵(reCup) ⓒYujinLee

베를린 거리를 걷다 보면 민트색 컵을 들고 다니는 사람을 종종 마주친다. 어떤 브랜드의 커피인지는 모르지만 하나는 확실히 알 수 있다. 다회용 컵 ‘리컵(reCup)‘ 사용자다. 특정 커피를 마신다는 이미지보다 다회용 컵 사용자라는 이미지가 더욱 주목을 받는 시대가 됐다. 독일에서 다회용 포장용기 사용이 의무화되면서 리컵은 또 다른 도약을 맞이했다. 독일 청년 2명이 창업한 스타트업은 어떻게 독일 시스템의 일부가 됐을까.

대학생 2명이 창업한 reCup
독일 판트 시스템 적용

독일 환경부에 따르면 독일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컵은 시간 당 32만 개. 이 중 14만 개가 테이크아웃 음료 컵이다. 베를린에서만 하루 46만 개의 일회용 컵이 버려진다. 친환경 인식이 비교적 높은 독일도 일회용품의 편리함은 쉽게 버릴 수 없다.

경영학을 전공하던 플로리안 파할리(Florian Pachaly)와 파비안 에케르트(Fabian Eckert)는 산더미처럼 쌓이는 일회용 컵 쓰레기를 두고 볼 수 없었다. 서로 모르는 사이였던 이들은 같은 아이디어로 만나 2016년 리컵을 창업했다. 다회용 용기를 도입하는 아이디어 자체는 새롭지 않았다. 독일 곳곳에서 텀블러나 다회용기 사용 프로젝트가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 이들은 좀 더 편리한 시스템을 고민했다. 독일에서 일상화된 플라스틱병 보증금(판트) 제도를 차용했다. 독일 전역에서 도입이 가능해야 하며 소비자들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었다.

리컵 창업자 플로리안 파할리와 파비안 에케르트 ⓒreCup

보증금 1유로로 재활용컵 사용

소비자들은 보증금 1유로를 내고 다회용 컵인 리컵을 사용한다. 사용 후에는 가까운 리컵 가맹점 어디에서나 반납하고 보증금을 돌려받는다. 회원 가입 등을 통해 개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사업자도 똑같이 개 당 1유로로 리컵을 공급 받는다. 반환된 컵은 식기세척기로 세척해 재사용한다. 리컵에 따르면 컵 하나를 17번 이상 사용해야 일회용 컵을 생산하는 것보다 경제적이다. 리컵은 최대 1000회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의 수명이 다하면 생산 시설로 보내 재활용한다.

6년 만에 참여 매장 2만 곳 돌파
다회용기 의무화로 대도약

참여 매장이 많아질수록 소비자들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리컵은 뮌헨과 베를린, 함부르크를 중점으로 참여 매장을 확장했다. 개인 사업자는 물론 프랜차이즈도 리컵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유기농 슈퍼마켓인 비오 컴퍼니, 알나투라, 덴스 비오막트 내 카페,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커피 펠로우, 셸 주유소 등과 계약을 맺으면서 독일 전역으로 확장이 가속화됐다. 리컵은 사이즈를 다각화하고, 음식 포장을 위한 리볼(Rebowl)도 출시했다. 리컵과 시스템은 같으며 보증금 5유로를 받는다.

현재 리컵과 리볼을 제공하는 파트너 매장은 2만 곳이 넘는다. 특히 독일에서 다회용기 의무화가 시작된 2023년 이후 2개월 동안 파트너사가 3800곳 증가했다. 패스트푸드점부터 백화점, 주유소, 베이커리 등 대부분 대규모 체인점이다.

리컵은 최근 포장음식용 다회용 리볼을 출시했다. ⓒreCup

독일 요식업 다회용기 사용 의무화

독일은 포장법 개정을 통해 2023년부터 요식업 부문에 다회용 용기를 의무화했다. 레스토랑과 카페 등은 다회용 용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하고, 고객들은 음식이나 음료를 포장 구입할 때 다회용 용기를 사용할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고객이 다회용 용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추가 비용을 부과해서는 안 되며, 보증금 시스템으로만 적용할 수 있다. 바로 리컵의 시스템이다. 직원이 5인 이하이거나 매장 면적이 80 제곱미터 이하인 경우에만 해당 의무에서 제외된다. 왠만한 규모의 식당이나 카페, 전국구 체인점들은 이제 좋으나 싫으나 다회용기 시스템을 구축할 수밖에 없다. 자체적으로 다회용기를 제작하거나 리컵처럼 기존의 시스템을 선택한다.

사업자와 직원 수용도 높여야

리컵이 빨리 성장하는 만큼 실제 운용에서의 개선점도 보인다. 특히 일선에서 다회용기를 다루는 직원들의 수용도가 높지는 않다. 직원들 입장에서는 다회용기 수거 및 보증금 반납, 세척 등의 추가 일거리만 늘어나니 당연한 일이다. 리컵을 도입한 일부 매장의 경우 다회용 컵을 아예 비치해 놓지 않거나, 거의 숨겨놓는 수준으로 비치한 곳도 있다. 고객이 먼저 알고 찾지 않는 이상 다회용 컵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아 보였다. 오랜 기간 구축된 관성이 바뀌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친환경 매장을 운영하겠다는 사장의 의지와 실제 일을 해야 하는 직원들 간의 간극을 줄이는 일이 필요하다.

독일 다회용 용기 리컵과 리볼 ⓒreCup

리컵 성장 뒷받침하는
독일 소비자들의 친환경 인식

한편 독일 소비자들은 꽤 준비가 된 것처럼 보인다. 독일 주유소 체인인 HEM이 리컵 도입을 준비하며 지난해 7월 수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6%가 다회용기 의무 도입에 찬성했으며, 다회용기 반환을 위해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용기를 반환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계속 일회용품을 선택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7%에 그쳤다. 일회용 컵을 사용하고 쓰레기통을 찾아 버리는 것만큼 다회용 용기 반환이 쉬워진다면 소비자의 수용도는 더 높아질 것이다.

리컵 대표 파비안은 처음에 대학교에 리컵 아이디어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고 한다.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게 불가능해 보였을 것이다. 어느새 리컵은 독일 전역에 안착했으며, 다회용기 사용 의무화로 또 한 번 폭발적인 성장을 앞두고 있다. 파비안은 친환경 매거진 <바쉬배어>에 “테이크 아웃 영역에서 일회용기를 완전히 없애겠다는 우리의 비전이 유토피아가 아니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 스타트업이 구축한 시스템이 국가 전역의 시스템으로 확대됐다. 다회용기 의무화도 처음에는 다소 비현실적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리컵은 그런 시스템이 가능함을 증명했다.